비수도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 48조…지역 연체율 최고 22%
페이지 정보
본문
수도권과 달리 냉기가 감도는 비수도권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48조원에 달하고, 지역별 연체율도 용인 둔전역 에피트 최고 22%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 끝에 부실 사업장에 대해 경·공매를 통한 구조조정에 본격 착수하면서,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PF 사업 부실은 연착륙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비수도권 부실 정리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숨겨진 부실'로 알려진 2금융권의 비수도권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잔액도 10조원, 연체율은 1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비수도권 PF에 대해 철저한 모니터링에 나서는 한편, 연내에 부동산 PF 문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27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비수도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8조3천억원으로, 수도권(82조1천억원)을 포함한 전체 잔액 130조4천억원의 37%를 차지한다.
비수도권 PF 대출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이나 경기(2.77%)에 비해 한참 높았다.
비수도권 중 부동산 PF 대출잔액이 가장 큰 지역은 부산(9조8천억원), 대구(8조9천억원), 경남(4조4천억원), 광주(3조9천억원), 충남(3조5천억원), 울산(2조6천억원), 충북(2조3천억원), 경북(2조1천억원) 순이었다.
세종(3천억원), 전북(1조원), 제주(1조3천억원), 전남(1조7천억원)과 강원(1조7천억원)은 잔액이 비교적 작았다.
지역별 PF대출 연체율은 세종이 22.03%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8.92%, 울산이 8.07%, 전남이 7.4%, 경남이 5.49%, 대구가 4.65%로 높은 축에 속했다.
세종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서울의 7.5배에 달했다.
비수도권의 토담대 잔액은 10조1천억원으로 수도권(14조원)을 포함한 전체 토담대 잔액의 42%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토담대 잔액은 부산이 2조4천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충남(1조3천억원)과 광주(1조원), 경남(7천억원)이 뒤를 이었다.
용인둔전에피트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토담대는 2금융권에서만 취급돼왔다. 사업성으로 대출을 내어주는 브릿지론과 유사한 성격이지만 규제 수준이 낮고 정확한 수치도 알려지지 않아 '숨겨진 부실'로 알려졌다.
비수도권 토담대 연체율은 15.33%로 수도권(13.89%)보다 1.44%포인트(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연체율은 전남이 28.06%로 가장 높았고, 제주(27.36%), 경남(26.38%), 대전(23.79%), 강원(19.81%)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부동산 PF 연착륙이 진행되고 있지만, 지방이나 비주거시설에 대한 양극화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 끝에 부실 사업장에 대해 경·공매를 통한 구조조정에 본격 착수하면서,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PF 사업 부실은 연착륙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비수도권 부실 정리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숨겨진 부실'로 알려진 2금융권의 비수도권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잔액도 10조원, 연체율은 1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비수도권 PF에 대해 철저한 모니터링에 나서는 한편, 연내에 부동산 PF 문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27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비수도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8조3천억원으로, 수도권(82조1천억원)을 포함한 전체 잔액 130조4천억원의 37%를 차지한다.
비수도권 PF 대출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이나 경기(2.77%)에 비해 한참 높았다.
비수도권 중 부동산 PF 대출잔액이 가장 큰 지역은 부산(9조8천억원), 대구(8조9천억원), 경남(4조4천억원), 광주(3조9천억원), 충남(3조5천억원), 울산(2조6천억원), 충북(2조3천억원), 경북(2조1천억원) 순이었다.
세종(3천억원), 전북(1조원), 제주(1조3천억원), 전남(1조7천억원)과 강원(1조7천억원)은 잔액이 비교적 작았다.
지역별 PF대출 연체율은 세종이 22.03%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8.92%, 울산이 8.07%, 전남이 7.4%, 경남이 5.49%, 대구가 4.65%로 높은 축에 속했다.
세종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서울의 7.5배에 달했다.
비수도권의 토담대 잔액은 10조1천억원으로 수도권(14조원)을 포함한 전체 토담대 잔액의 42%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토담대 잔액은 부산이 2조4천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충남(1조3천억원)과 광주(1조원), 경남(7천억원)이 뒤를 이었다.
용인둔전에피트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토담대는 2금융권에서만 취급돼왔다. 사업성으로 대출을 내어주는 브릿지론과 유사한 성격이지만 규제 수준이 낮고 정확한 수치도 알려지지 않아 '숨겨진 부실'로 알려졌다.
비수도권 토담대 연체율은 15.33%로 수도권(13.89%)보다 1.44%포인트(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연체율은 전남이 28.06%로 가장 높았고, 제주(27.36%), 경남(26.38%), 대전(23.79%), 강원(19.81%)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부동산 PF 연착륙이 진행되고 있지만, 지방이나 비주거시설에 대한 양극화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이전글fat1 길저스-알렉산더(26·19 24.10.27
- 다음글sanga5 .<br>부산주한미군55보급창창고에 24.10.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