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가격 '줄하락'…서울 강남권·과천·분당은 버틴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http://st21.co.kr/img/no_profile.gif)
본문
연초 전국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심화되는 가운데, 서울 강남권과 경기 과천, 분당 등 강남과 근접한 지역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에서도 노원구, 도봉구, 강북구와 금천구, 관악구 등 외곽지역은 하락했다.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되는 모습이다.
29일 KB부동산 구성역 플랫폼시티47 주간 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 아파트 매매는 전주 대비 -0.06% 하락, 전세는 0.00%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01%, 전세는 0.02% 상승했으며, 경기도 매매는 -0.06% 하락, 전세 0.02% 상승, 수도권 매매는 -0.04% 하락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35.4보다 소폭 상승한 37.9다.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는 울산(-0.03%), 광주(-0.06%), 대전(-0.09%), 대구(-0.11%), 부산(-0.13%) 모두 하락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도 -0.08% 하락했으며, 지역별로 강원(-0.01%), 전북(-0.02%), 충북(-0.03%), 전남(-0.04%), 세종(-0.1%), 경북(-0.1%), 충남(-0.12%), 경남(-0.14%) 모두 하락했다.
서울 구성역 플랫폼시티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했다.(0.02%(12/30) → 0.01%(1/6) → 0.00%(1/13) →0.01%(1/20)). 강남구(0.09%), 서초구(0.07%), 송파구(0.06%), 용산구(0.06%), 성동구(0.05%) 등이 상승했고, 관악구(-0.08%), 도봉구(-0.07%), 금천구(-0.06%), 노원구(-0.03%) 등이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6% 하락했다(-0.05%(1/6) → -0.06%(1/13) → -0.06%(1/20)). 과천시(0.12%), 성남시 분당구(0.05%), 수원시 영통구(0.03%), 의왕시(0.01%) 등이 상승했고, 평택시(-0.26%), 오산시(-0.17%), 이천시(-0.16%), 파주시(-0.15%), 광주시(-0.14%), 양주시(-0.13%), 광명시(-0.1%), 안산시 단원구(-0.1%) 등이 하락했다. 인천(-0.05%)은 서구(0.01%) 상승, 계양구(-0.14%), 연수구(-0.14%), 미추홀구(-0.06%), 부평구(-0.02%), 남동구(-0.01%), 중구(-0.01%)가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 보합이다. 수도권은 0.03% 상승, 기타 지방은 -0.03% 하락했다. 5개 광역시(-0.03%)는 울산(0.09%), 부산(0%), 광주(-0.03%), 대전(-0.06%), 대구(-0.08%) 순으로 변동을 보였다.
서울 전세는 0.02% 상승했다. 지역별로 노원구(0.08%), 구로구(0.08%), 양천구(0.08%), 영등포구(0.07%) 등이 상승했고, 관악구(-0.16%), 강동구(-0.08%), 성북구(-0.04%) 등이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상승했다. 과천시(0.36%), 양주시(0.29%), 수원시 장안구(0.21%), 수원시 팔달구(0.21%), 구리시(0.19%), 부천시 오정구(0.17%), 부천시 원미구(0.16%) 등이 상승했고, 광명시(-0.27%), 광주시(-0.18%), 성남시 중원구(-0.18%), 이천시(-0.12%), 안양시 만안구(-0.12%), 군포시(-0.11%), 파주시(-0.09%), 안성시(-0.09%) 등은 하락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35.4보다 상승한 37.9를 기록했다. 인천(23.6)을 제외한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26.6)이 가장 높다. 대전 21.5, 광주 17.2, 부산 15.3, 대구 12로 100 미만의 '매도자 많음' 상황이다.
29일 KB부동산 구성역 플랫폼시티47 주간 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 아파트 매매는 전주 대비 -0.06% 하락, 전세는 0.00%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는 0.01%, 전세는 0.02% 상승했으며, 경기도 매매는 -0.06% 하락, 전세 0.02% 상승, 수도권 매매는 -0.04% 하락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35.4보다 소폭 상승한 37.9다.
지역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는 울산(-0.03%), 광주(-0.06%), 대전(-0.09%), 대구(-0.11%), 부산(-0.13%) 모두 하락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도 -0.08% 하락했으며, 지역별로 강원(-0.01%), 전북(-0.02%), 충북(-0.03%), 전남(-0.04%), 세종(-0.1%), 경북(-0.1%), 충남(-0.12%), 경남(-0.14%) 모두 하락했다.
서울 구성역 플랫폼시티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했다.(0.02%(12/30) → 0.01%(1/6) → 0.00%(1/13) →0.01%(1/20)). 강남구(0.09%), 서초구(0.07%), 송파구(0.06%), 용산구(0.06%), 성동구(0.05%) 등이 상승했고, 관악구(-0.08%), 도봉구(-0.07%), 금천구(-0.06%), 노원구(-0.03%) 등이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6% 하락했다(-0.05%(1/6) → -0.06%(1/13) → -0.06%(1/20)). 과천시(0.12%), 성남시 분당구(0.05%), 수원시 영통구(0.03%), 의왕시(0.01%) 등이 상승했고, 평택시(-0.26%), 오산시(-0.17%), 이천시(-0.16%), 파주시(-0.15%), 광주시(-0.14%), 양주시(-0.13%), 광명시(-0.1%), 안산시 단원구(-0.1%) 등이 하락했다. 인천(-0.05%)은 서구(0.01%) 상승, 계양구(-0.14%), 연수구(-0.14%), 미추홀구(-0.06%), 부평구(-0.02%), 남동구(-0.01%), 중구(-0.01%)가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 보합이다. 수도권은 0.03% 상승, 기타 지방은 -0.03% 하락했다. 5개 광역시(-0.03%)는 울산(0.09%), 부산(0%), 광주(-0.03%), 대전(-0.06%), 대구(-0.08%) 순으로 변동을 보였다.
서울 전세는 0.02% 상승했다. 지역별로 노원구(0.08%), 구로구(0.08%), 양천구(0.08%), 영등포구(0.07%) 등이 상승했고, 관악구(-0.16%), 강동구(-0.08%), 성북구(-0.04%) 등이 하락했다.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상승했다. 과천시(0.36%), 양주시(0.29%), 수원시 장안구(0.21%), 수원시 팔달구(0.21%), 구리시(0.19%), 부천시 오정구(0.17%), 부천시 원미구(0.16%) 등이 상승했고, 광명시(-0.27%), 광주시(-0.18%), 성남시 중원구(-0.18%), 이천시(-0.12%), 안양시 만안구(-0.12%), 군포시(-0.11%), 파주시(-0.09%), 안성시(-0.09%) 등은 하락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전주 35.4보다 상승한 37.9를 기록했다. 인천(23.6)을 제외한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26.6)이 가장 높다. 대전 21.5, 광주 17.2, 부산 15.3, 대구 12로 100 미만의 '매도자 많음' 상황이다.
- 이전글점성술, 전화운세상담 기다림 없이 빠르게 상담받기! 25.01.29
- 다음글알공급 ❤️텔 mgo69 / 카지노솔루션❤️ 파워볼솔루션분양 바다이야기프로그램 카지노에이전트 TQqe 25.01.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